10년간 K 푸드 수출 연평균 8% 증가
최근 10년간 라면·건강식품을 중심으로 K 푸드 수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분석한 10년간 K 푸드 수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K 푸드 수출액은 2015년 35억1000만달러에서 지난해 70억2000만달러로 증가했다.
지난해 수출액을 품목별로 보면 라면이 13억6000만달러로 1위였다. 이어 간편식(9억8000만달러), 음료(9억4000만달러), 건강식품(8억2000만달러), 조미료(6억5000만달러) 순이었다.
연평균 성장률로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K 푸드 수출은 8% 증가했다. 특히 2015~2019년 성장률은 5.9%, 2020~2024년 성장률은 9%로 최근 5년간 수출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0년간 품목별 성장률은 라면이 20.1%로 가장 높았다. 건강식품(11.9%)과 조미김(11.3%)이 뒤를 이었다.
수출 1위이자 최근 10년 성장률 1위 품목인 라면은 K 컬처(불닭볶음면 SNS 확산 등)와 전자상거래 확산, 코로나 팬데믹으로 촉발한 가정 간편식 선호 추세 등에 힘입어 매년 수출 최고치를 경신했다.
또한, 라면은 2023년 기준 세계 20.6% 수출 비중으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1위 수출국에 올랐다.
지난해 K 푸드 상위 수출국은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일본이었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수출 1위국이 중국에서 미국으로 바뀌었다.
베트남(6→4위), 필리핀(7→5위) 등 동남아 국가는 약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정훈 서울대 교수는 "미국과 동남아 시장에서 한류 영향력 및 건강식품 선호 트렌드가 지속되며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로 수출이 증가했다"며 "미국의 경우 한국 식품이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하며 유통망이 확대되고 K 푸드 프랜차이즈 매장 증가세와 현지 마케팅 강화도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K 푸드 수출이 지역, 품목 쏠림 현상이 크다. 수출 지역 및 품목 다변화를 통한 수출 확대를 이어가야 할 것"이라며 "대한상의도 수출 현장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대정부 건의 기능을 강화하고,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출처 :세계로 뻗어가는 라면·건강식품…10년간 K 푸드 폭풍 성장 ㅣ 더팩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