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위원회 운영자금과 안건 실행자금으로 사용될 예정
지난 5월엔 로열티 면제·신메뉴 마케팅 등에 300억 집행
업계 “여러 잡음으로 악화된 대중의 시선 달라질지 주목”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한 명의 점주도 놓고 가지 않겠다.”
백종원(사진) 더본코리아 대표가 지난 6월 가맹점주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에 착수하며 밝혔던 말이다.
거칠 것 없던 외식업계의 아이콘이 흔들린 것도 한 순간. 그의 이름이 알려진 이후 맞닥뜨린 가장 큰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꺼내 든 사재 출연 카드는 그를 원래 있던 자리로 돌려 놓을 수 있을까?
백 대표가 100억원의 사재를 출연해 가맹점과의 상생 경영 실천에 나서기로 했다. 외식업 프랜차이즈의 대명사로 불렸던 백 대표가 직접 자금을 출연한 것은 최근 더본코리아를 둘러싼 신뢰 저하와 주가 하락 등 복합적인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백 대표는 2일 본인 소유의 더본코리아 주식 92만337주를 담보로 NH투자증권과 한국증권금융에서 총 120억원 규모의 담보 대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중 100억원은 사재 출연 성격의 자금으로, 지난 6월 출범한 더본코리아 상생위원회 운영을 위한 재정 기반으로 활용된다.
한도대출은 한번에 100억원을 모두 대출받는 게 아니라 필요할 때마다 100억원 한도 내에서 필요 자금을 꺼내 쓰는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으로 보면 된다.
더본코리아 관계자는 “120억원 중 100억원의 한도대출 약정 금액이 사재 출연 금액으로 쓰일 돈”이라며 “상생위원회 운영자금과 거기서 나오는 안건에 대한 실행자금으로 대출금이 사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더본코리아는 올해 6월 증시 상장 이후 주가 하락을 돌파하기 위해 가맹점주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에 착수했다. 그러면서 관련 비용은 백 대표가 사재를 출연해 지원하기로 했다. 당시 백종원 대표는 “한 명의 점주도 놓고 가지 않겠다”며 상생 기조에 힘을 실었다.
더본코리아 상생위원회는 가맹점 대표, 본사 임직원, 외부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공식 협의체다. 정례회의와 분기별 점검을 통해 제안을 수렴·실행하며, 시민단체 출신 외부 위원을 위촉해 결정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도 확보했다.
위원회 출범 이후 지금까지 △배달 매출 로열티 50% 인하 △가맹점 월세 카드결제 서비스 도입 △마케팅 지원 확대 등 실질적 안건들이 추진됐다.
업계에선 백 대표의 자금 출연이 단순한 상생 차원을 넘어, 회사 전반의 위기 대응 목적도 포함된 조치로 보고 있다. 더본코리아는 지난 5월에도 전국 가맹점주와 간담회를 열고, 가맹점 매출 활성화를 위한 로열티 면제, 신메뉴 마케팅 등에 300억원을 집행했다.
하지만 올해 들어 일부 브랜드의 실적 둔화, 상장 후 주가 하락, 본사 경영 리더십에 대한 비판적 시선 등이 이어지며 전반적인 불안 요인이 커진 상황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연돈볼카츠 가맹점 모집 과정에서 수익률 부풀리기 의혹이 제기돼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았고, 브랜드 이미지에 일정 부분 타격이 발생했다.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예비 창업자에게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를 가맹사업법 위반으로 보고 있다.
백 대표는 이 같은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100억원을 사재 출연, 상생위원회가 지속 가능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재정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100억원은 지난해 더본코리아 연결기준 영업이익 360억원의 28%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백 대표가 점주와의 실질적인 상생과 소통을 담보하기 위해 적지 않은 사재를 내놓는 것으로 보인다”며 “여러 잡음으로 악화된 대중의 시선이 이번 사재출연 약속 이행으로 달라질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박순원 기자(ssun@dt.co.kr)
|